'데이터 엔지니어'로 성장하기

정리하는 걸 좋아하고, 남이 읽으면 더 좋아함

기타/Xen,Proxmox

Proxmox) 클러스터 구성해보기_하나의 Web으로 상태 확인

MightyTedKim 2025. 4. 19. 22:25
728x90
반응형

 

최근 Proxmox를 이용해 집에서 미니 클러스터를 꾸려보고 있습니다.
미니 PC 1대, 노트북 1대를 가지고 놀다 보니 자연스럽게 "클러스터링" 기능에 관심이 생겼는데요.

→ 클러스터링에 대한 자료 조사와 실제 실습으로 구성했습니다.

 

예상 독자는 아래와 같습니다.

1. Proxmox 클러스터링이 궁금한 분

2. Clustering을 따라해보실 분


1. 예시 시나리오 (집에서 실험 중)

  • 노드1: 미니 PC / Proxmox VE 설치
  • 노드2: 노트북 / Proxmox VE 설치
  • 두 노드를 클러스터 구성해서 Proxmox GUI에서 통합 관리
  • NAS 또는 외장 SSD(NFS/Samba) 공유 스토리지를 활용해 VM 이동도 실험


2. Clustering 개념 비교

시스템목적 / 특징
Proxmox VE 여러 물리 서버(VE 노드)를 하나처럼 관리
→ Corosync로 상태 공유
→ VM/LXC 마이그레이션 기능
→ GUI에서 통합 운영
Kubernetes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
→ Master/Worker 구성
→ 리소스 자동 분산, 복제, 롤링 업데이트
Kafka 메시지 브로커 클러스터링
→ 브로커 간 메시지 분산 및 복제
→ Zookeeper or KRaft로 클러스터 메타 관리

3. Proxmox Clustering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

✅ 여러 노드 통합 GUI 관리
✅ VM 상태, 자원 사용 현황 한눈에 확인
✅ (공유 스토리지 기반 시) Live Migration 가능
✅ (HA 설정 시) 노드 장애 복구 자동화 가능


proxmox HA대해 궁금해졌어요.

스토리지를 로컬로 사용하고 있는데 어떻게 이게 가능하지?

라는 의문이 들었어요

 

역시나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도라고요

 High Availability (HA) 설정 + ✅ 공유 스토리지(NFS, Ceph 등) 가 필요

4.  HA 구성 요건

항목내용
3개 이상의 노드 or QDevice 클러스터 quorum 유지 필요 (2노드면 split brain 위험)
공유 스토리지 VM이 다른 노드에서도 접근 가능해야 함
HA 설정 Proxmox에서 VM을 고가용성 대상으로 등록 (ha-manager, GUI 지원)
  • 로컬 스토리지만 사용하는 경우,
    → 클러스터 구성이 되더라도 Live Migration/HA는 작동하지 않음
    → 공유 스토리지가 있어야 진짜 클러스터 이점 살릴 수 있음

이제 클러스터링에 대한 자료 조사는 끝났습니다.


이제 클러스터링 해볼게요

✳️ 전제 조건:

  • 두 대 이상의 Proxmox VE 노드가 준비되어 있음 (예: pve01, pve02)
  • 각 노드는 동일한 버전의 Proxmox VE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
  •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있어야 함 (ping 가능해야 함)
  • root 계정 비밀번호 동일 추천 (SSH 키 자동 전송 위해)

🛠️ Proxmox 클러스터링 구성 절차


0. /etc/host 설정

양 쪽 모두 해줍니다.

1. 첫 번째 노드에서 클러스터 생성

# pve01에서 클러스터 생성 
# pvecm create my-cluster
# pvecm status
  • my-cluster는 클러스터 이름이므로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 가능
  • 생성이 완료되면 /etc/pve/corosync.conf가 생기고, 클러스터 상태 확인 가능

 
 

2. 다른 노드에서 클러스터에 조인

# pve02에서 실행 (클러스터에 참가할 노드) pvecm add <pve01의 IP 주소>
# pvecm add 192.168.0.10

# pvecm add p-121 #hostname을 등록했다면
 
    • 이 과정에서 root@pve01로 SSH 연결되며, 키를 자동으로 받아옴
    • 연결이 완료되면 pvecm status로 양쪽 노드에서 클러스터 상태 확인 가능

 


3. 클러스터 상태 확인

모든 노드에서 다음 명령으로 클러스터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

# pvecm nodes

Membership information
----------------------
    Nodeid      Votes Name
         1          1 p-121 (local)
         2          1 p-122
root@p-121:~#

 

p-121에는 다른 노드가 보이는데, p-122에는 보이지가 않습니다
혹시나 안보이면 새로고침을 해주세요
둘다 나옵니다
이렇게 설정한 클러스터는 노드간 모두 대등합니다 (모든 노드가 Multi‑Master)
이렇게 구성한 클러스터링의 장점을 다시 살펴보죠
한눈에 리소스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(생각보다 유용함)
 

 

마무리

Proxmox 클러스터링은 생각보다 쉽게 구성할 수 있고,
작은 환경에서도 충분히 실험과 테스트에 재미를 줄 수 있습니다.

# pvecm create my-cluster

# pvecm add p-121

 

다음은 Terraform을 이용해 Proxmox에 VM이나 LXC를 배포하는 예시해보려합니다.

 

728x90
반응형